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91

절세계좌 국내상장 해외ETF 과세이연 폐지 ISA 연금저축, IRP 세제개편 올해 적용된 절세계좌 세제 개편안(21년에 개정안 결정)에 대해 논란이 많습니다. 해외 주식을 기본으로한 ETF의 배당수익에 대해 과세 이연을 안한다는 내용인데 어떤 내용인지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기존 배당금 수령미국S&P500을 추종하는 국내상장 ETF가 있다고 하고 배당금을 100만원을 수령하는 경우입니다. 1. 배당시기가 되면 미국 기업에서 국내 증권사에 배당금 100만원을 지급합니다. 2. 증권사는 미국정부에 배당소득세 15만원을 납부합니다.(배당소득세 15%) 3. 세후 배당금은 85만원이 됩니다. 4. 국내에선 국세청이 미국에 낸 배당소득세 15만원을 증권사로 선환급합니다. 5. 최종적으로 증권사의 배당수익이 100만원이 되고 6. 투자자에게 100만원으로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2025. 2. 25.
25년 세법개정안 변경 내용 TR ETF 금투세 폐지 증여양도세 ISA 자산을 모으기 위해서는 절세를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25년 버전으로 변화된 세법개정안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TR ETF 폐지TR ETF의 TR은 Total Return이라는 뜻으로 보유기간 중 발생한 이익을 환매, 양도시까지 분배하지 않고 전부 재투자하는 ETF입니다. 즉 배당금을 받지 않고 재투자함으로써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 TR 상품이 폐지되면서 재투자 없이 정기 배당이 의무화 되었습니다. 단, 국내주식형 ETF의 경우는 TR 상품을 유지합니다. 가장 영향을 받는 상품은 국내 상장 해외 ETF 상품입니다. 대표적인 상품인 삼성증권 S&P500, 나스닥의 TR 상품은 폐지하고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KODEX 미국S&P50.. 2025. 2. 25.
달러 투자 방법 3가지 예금 RP 발행어음 은행 증권사 최근 달러의 가치가 연일 높아지는 등 달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 달러 자산을 늘리는 방법에는 은행 예금 및 증권사 상품들이 있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드리겠습니다.   목차 달러예금은행에 달러를 예치하는 방법입니다. 예금에는 언제든지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달러 보통예금과 약정기간을 설정하고 예치하면 만기시 이자를 받는 달러예적금이 있습니다. 달러보통예금은 이율이 0.01%로 거의 0% 수준이며 달러 예적금은 1년 예치 기준 4% 수준입니다. 때문에 달러 보통예금은 달러를 은행에 맡기는 수준으로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며 환차익에서 이득을 보지않는 이상 마이너스 투자처 입니다. 대신 달러예금은 맡기는 기간이 길수록 이율이 높아지며 국내 예금 상품대비 금리가 높습니다. 외화예금 .. 2025. 1. 5.
달러예금 달러RP 발행어음 가입하는 방법 미래에셋 증권사 동일 달러의 가치 연일 높아짐에 따라 달러 투자 상품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달러투자의 대표적인 상품인 달러예금, 달러RP, 발행어음 가입하는 방법을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가입인 달러RP와 발행어음은 증권사별 동일한 방법이니 참고하세요.   목차 달러예금 가입 방법외화예금의 경우 국내 예금 상품보다 금리가 높아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달러 예금 가입은 은행앱으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달러예금을 가입하기 전에 먼저 외환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은행앱의 메뉴에서 외환계좌를 검색하여 계좌를 먼저 개설한 후 외환정기예금'으로 상품 검색을 합니다. 상품의 거치기간과 금리를 확인하시고 가입하시면 됩니다. 국민은행의 달러예금 상품의 경우 1년 약정 기준 금리가 4% 정도 됩니다. 단.. 2025. 1. 5.

TOP

Designed by 티스토리